정보/컴퓨터정보

◈ 레지스트리 편집 HKEY_CURRENT_USER 와 HKEY_LOCAL_MACHINE 구성 살펴보기.

s-mate 2016. 7. 1. 09:56

◈  레지스트리 편집 방법 및 HKEY_CURRENT_USER 구성 살펴보기.


HKEY_CURRENT_USER는 레지스트리의 구성항목으로 여러가지 윈도우설정과 프로그램정보등을 담고 있다

간략하게 HKEY_CURRENT_USER의 구성항목만 설명하도록 해 본다.


그럼 레지스트리 키 편집기를 열어서 HKEY_CURRENT_USER 항목을 서브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. 


먼저  ! 윈도우키 + R 키를 동시에  눌러주세요 !   그리고 나서 "regedit" 입력을 하고 확인을  클릭을 하여주세요.


HKEY_CURRENT_USER


# AppEvent : 소리,이벤트등 효과음 관련 설정정보


# Console : 제어판에 저장된 설정정보 및 바탕화면 설정내용 저장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+내게필요한 옵션 ,디스플레이,마우스등


# Control Panel : 화면보호기,테마,키보드 마우스 설정 정보


# Environment : 윈도우7이전세대의 시스템등록정보의 환경변수 저장


# EUDC : 윈도우7 이전세대의 eudc정보 저장


# Identities : 아웃룩,메신저등 윈도우 메일프로그램 정보 저장


# Keyboard Layout : 키보드의 정보 저장 및 사용자의 사용언어 형식 저장


# Network : 네트워크 정보 저장


# Printers : 프린터 연결상황 및 이름 ,인쇄용지, 기본설정 정보 저장


# Sessions Information : 윈도우xp에서 사용되는 키로 pc의 작업내용 저장


# Software :  pc에서 사용중이며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 변수,정보저장(64비트일경우)


# UNICODE Program Groups  윈도우 7이전의 xp,2000에서 사용되며 유니코드를 사용한 그룹정보 저장


# Volatile Environments : xp,2000에서 사용되며 로그온사용자 정보 저장


이상으로 HKEY_CURRENT_USER 구성 살펴으니, 레지스트리 이해와 편집도 한걸음 다가설수 있지않은가 싶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◈  레지스트리 HKEY_LOCAL_MACHINE 구성 살펴보기.


레지스트리 편집기의  HKEY_LOCAL_MACHINE 루트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본다.

 

HKEY_LOCAL_MACHINE 루트키는 개별 사용자 단위의 설정에 대해서 저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,

 윈도우 시스템 전체에 적용이 되는 설정을 저장하며,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의 설정 데이터를 저장하는 키 입니다.

 

다음으로 HKEY_USERS에는HKEY_CURRENT_USER  항목과 비슷한 내용이 저장이 되지만, 

HKEY_CURRENT_USER항목은  윈도우 개별 사용자의  설정이 저장이 되는 키 입니다.

 

HKEY_USERS 항목도 사용자 프로필을 만들 때 적용한 기본설정 과 사용자별로 정의 그룹 정책 설정이

 저장이 되어 있습니다.

 

그럼 레지스트리 키 편집기를 열어서 HKEY_LOCAL_MACHINE 항목의 주요 서브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.


HKEY_LOCAL_MACHINE


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열리면 HKEY_LOCAL_MACHINE  클릭을 하시면   서브키가 표시가 됩니다.

 이중 주요 서브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HARDWARE :    수치 연산 프로세서 , 직렬 포트, 모뎀 등 하드웨어 관련 설정을 저장 합니다.

 

SOFTWARE : 응용 프로그램에서 컴퓨터 단위로 적용하는 설정 데이터를  저장 합니다.

 

SYSTEM :  윈도우 시스템의 부팅과 관련된 설정 데이터를 저장을 합니다.